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벌꿀오소리

태양계에서 일곱번째 행성인 천왕성에 대하여 본문

우주이야기

태양계에서 일곱번째 행성인 천왕성에 대하여

박프로 스포츠 2019. 10. 18. 19:28

태양계 일곱번째 행성 천왕성. 천왕성의 핵은 얼음이다. 지표는 액체 메탄이다. 대기는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왕성의 평균 기온은 -218도 이다. 천왕성의 자전주기는 17시간 14분이다. 공전주기는 84년이다. 중력은 지구의 88%이다. 체중이 100kg인 사람이 천왕성에 가면 88kg이다. 천왕성은 해왕성과 매우 닮았다. 사실상 쌍둥이라고 봐도 된다. 사진으로 보면 푸른 진주처럼 생겼다. 천왕성은 지구보다 63배 크다. 무게는 15배 정도 무겁다. 목성형 행성의 특징으로 고리도 있고 거대 위성도 있다. 밀도는 해왕성보다 낮고 토성보다 가볍다. 천왕성의 겉보기 등급은 5.8이다. 인간이 육안으로 확인할수 있는 등급은 6이다. 그래서 오래 전부터 희미하게는 볼 수 있었다. 태양계 행성 중 유일하게 천왕성은 옆으로 누워서 자전한다.  대부분 행성들이 공전축과 자전축이 이루는 각이 작아 팽이 돌듯 자전한다. 하지만 천왕성은 자전축이 공전면에 거의 붙어있어서 공이 구르는 모습처럼 자전한다. 이렇게 천왕성의 자전축이 기운것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행성이 충돌했다는 설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자전축을 기울일 만큼 빠르고 질량이 큰 행성이 충돌했을 리는 없다고 한다. 또 안팎으로 질랴이 큰 행성들이 있다보니 중간에 끼어서라는 말도 있다. 천왕성은 신기하게 낮보다 밤에 온도가 더 높다. 이 이유는 수소 분자가 낮에는 자외선 때문에 원자로 나뉘었다가 밤에 다시 분자로 모여 내는 열이라고 추측한다. 천왕성은 자기장도 특이하다. 지구와 목성,토성등과 달리 천왕성과 해왕성의 자기장은 자전축과 동떨어진 분포를 보인다. 천왕성의 질량은 지구의 15배나 되지만 행성 표면에서 중력은 0.9G로 오히려 지구보다 낮다. 이는 직경이 지구보다 4배가 넘게 크지만 질량이 상대적으로 가벼워서 이다. 천왕성을 가장 오래 관측한 기록은 영국의 천문학자인 존 플램스티드가 작성한 플램스티드 항성 목록이다. 플램스티드 항성 목록에는 황소자리 34변 별이 있다. 추후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이 별은 천왕성이었다. 플램스티드는 1690년쯤 천왕성을 관측했다. 하지만 이것을 항성으로 착각하고 기록했다. 이후로도 천왕성을 관측한 천문학자들이 있었지만 이들은 이 것이 행성이라는 사실을 밝혀내지 못해서 천왕성의 발견자로 간주되지 않는다. 천왕성은 맨눈으로도 보인다. 어두운 곳이라면 간신히 보인다. 5~6등급정도의 밝기를 유지한다. 만약 쌍안경이 있다면 도심에서도 볼 수 있다. 천왕성을 보고 싶다면 어두운 장소에서 황도를 따라가면서 관찰하면 볼 수 있다. 황도에서 성표에 없는 어두운 별을 보게 된다면 바로 그게 천왕성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왕성이 1780년이 넘어서야 발견된 것은 다른 행성보다 어두워서 잘 보이지 않는데다 이동하는 속도가 아주 느려서이다. 특히 관측하기 좋은 시기에는 천왕성이 역행하기 때문에 더욱 느리다. 한편으로는 관측을 취미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천왕성이 인기가 없다. 목성은 목성의 위성도 볼수있고 토성은 고리가 예쁘지며 해왕성은 기상현상이 활발하지만 천왕성을 별 특징이 없고 밋밋해서 그렇다고 한다. 현재 태양계의 진화론에 따르면 지금 천왕성과 해왕성이 있는 영역은 태양계가 형성될 당시에 성운 가스 밀도가 빠르게 희박해져서 중형 가스형 행성이 나오긴 어렵다고 한다. 그래서 해왕성과 천왕성이 원래는 목성과 토성 궤도 바깥에 가까이 있다가 행성 간의 섭동을 거쳐서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는 설도 존재한다. 이 설에 따르면 행성의 순서는 천왕성 다음 해왕성이 아니라 해왕성 다음 천왕성 이었다고 한다. 아무튼간에 해왕성과 천왕성은 오랜 시간에 걸쳐서 지금의 위치에 왔고 또 이 일 때문에 천왕성의 지축이 크게 기울었을 수도 있다고 한다. 이로 인해서 명왕성이나 해왕성 밖의 천체 및 물질 분포를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이론을 정설로 받아들이는 편이다. 천왕성은 표면이 아주 휑해서 볼 것이 아무것도 없다. 또 기상현상도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천왕성을 보고 매우 밋밋하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Comments